고용노동뉴스
고물가에 실질임금 8개월 연속 감소
페이지 정보

본문
임금인상률이 물가상승률을 따라잡지 못하면서 노동자 실질임금이 8개월 연속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22년 12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상용직 1명 이상 사업체의 노동자 한 명당 월 평균 임금총액은 381만8천원이다.
1년 전 같은 달(343만원)과 비교해 15만5천원(4.5%) 증가했다.
상용직은 378만5천원으로 17만3천원(4.8%), 임시·일용직은 176만4천원으로 5만원(2.9%) 늘었다. 고용형태에 따른 소득격차가 벌어졌다.
노동부는 “숙박·음식점업, 사업시설·지원·임대업 등 상대적으로 임금수준이 낮은 산업의 임시·일용직이 증가해 전년(3.1%)에 비해 임금상승률이 둔화했다”고 설명했다.
사업체 규모에 따른 소득격차도 심화했다. 300명 미만 사업체 임금은 4.1%, 300명 이상 사업체는 5.6%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소비자물가지수를 반영한 실질임금은 지난해 11월 기준 328만6천원이다. 1년 전 같은달보다 1만6천원(0.5%) 줄었다. 임금인상률이 고물가를 따라가지 못했다는 의미다.
실제 지난해 소비물가 상승률은 1월 3.6%에서 7월에는 6.3%까지 올랐다. 이후 12월까지 5% 상승률을 계속 유지했다.
고물가가 이어지면서 실질임금은 지난해 4월부터 11월까지 8개월 연속 감소세를 기록하고 있다.
4월 -2.0%, 5월 -0.3%, 6월 -1.1%, 7월 -2.2%, 8월 -0.6%, 9월 -2.3%, 10월 -0.5%, 11월 -0.5%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누계 월 평균 실질임금은 354만9천원으로 전년 동기와 같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사업체 종사자수는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마지막 영업일 기준 종사자 1명 이상 사업체의 전체 종사자는 1천897만7천명으로 1년 전과 비교해 42만7천명(2.3%) 증가했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상용직이 24만7천명(1.6%), 임시일용직은 21만1천명(11.7%) 늘었다. 특수고용직 등을 의미하는 기타종사자는 3만1천명(2.8%) 줄었다.
임시일용직과 특수고용직을 오가는 불안정 노동자들이 적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출처 : 매일노동뉴스
- 이전글E-9 이주노동자 2만8천명 새로 입국한다 23.02.03
- 다음글직장인 3명 중 1명 ‘공짜 야근’ 23.02.0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